철근 표시 방법,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축용 철근은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생산된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 관한 국가표준은 철근콘크리트 보강에 사용되는 봉강 중 열간 압연으로 만든 이형봉강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철근의 형상과 재질, 공칭지름, 표준길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보강용 철근 종류 및 표시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형태나 재질, 공칭지름 등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철근의 표시 방법인 롤링 마크를 읽을 수 있으면 어떤 종류의 철근인지 알 수 있습니다. 철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철근의 형상에 따른 구분
먼저 철근 종류를 구분할때 형상에 따라 원형봉강과 이형봉강 또는 원형철근 이형철근으로 나눕니다.
원형철근, 원형봉강은 단어 그대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근 종류로 표기는 SR(Steel Round Bar)로 하게 됩니다.
철근 종류 중 원형철근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리브가 있는 철근이 이형철근 또는 이형봉강으로 부르며 SD(Steel Deformde Bar)로 표기합니다.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리브와 마디(횡방향 리브)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과 정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SR 원형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SD 이형철근만을 사용합니다.
철근 표시로 철근 종류 알려주는 롤링마크
이형철근은 마디 사이에 원산지 표시와 제조자명, 호칭지름(공칭지름과는 조금 차이가 있음), 강도를 1.5미터 간격으로 롤링 마크를 하도록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러한 롤링 마크 자체를 위조해 원산지를 속이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제품 송장부터 관련 인증 서류를 꼼꼼히 챙겨야 하는 상황입니다.
롤링 마크로 철근의 이력과 성능을 알 수 있도록 철근 표시를 한 만큼 어떻게 읽고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철근 표시인 롤링마크는 원산지 표시와 제조자명, 호칭지름, 강종구분 표시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있으며 원산지가 대한민국일경우 KR, 일본 JP, 중국 CN 등으로 표시합니다. 강종구분은 SD300은 표시를 하지 않고 SD400 부터 순서대로 4, 5,6 등으로 표시합니다. 내진용 철근은 뒤에 ‘S’가 붙고 용접용 철근은 뒤에 ‘W’를 붙입니다. 강종구분의 표시와 의미, 주로 사용하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 SD 300 : 표시없음, 일반철근
- SD 400 : 4 (항복강도 400N/㎟ 이상인 이형철근), 고장력철근 HD로 표시하기도하며 건축 현장에 주로 사용
- SD 500 : 5 초고장력철근 SHD로 표시하기도하며 초고층 또는 지하 구조물에 사용
- SD 600 : 6 울트라 고장력철근 UHD로 표시하기도하며 초대형, 초고층 구조물에 사용
- SD 400S : 4S (항복강도 400N/㎟ 이상인 내진철근), 내진용 HD
- SD 500S : 5S (항복강도 500N/㎟ 이상인 내진철근), 내진용 SHD
- SD 600S : 6S (항복강도 600N/㎟ 이상인 내진철근), 내진용 UHD
- SD 400W : 4W (항복강도 400N/㎟ 이상인 용접용철근), 탄소성분을 낮춘 철근
- SD 500W : 5W (항복강도 500N/㎟ 이상인 용접용철근), 탄소성분을 낮춘 철근
강종구분에서 숫자로 표시하지 않고 점의 갯수로 강종을 표기하기도 합니다. SD400 부터 점 2개(●●)에서 하나씩 늘어납니다. SD600은 점 5개(●●●●●)로 표시합니다.
철근의 롤링마크 외에도 철근의 강종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철근의 묶음마다 태그로 표시하거나 새구별 표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형철근의 색에 따른 강종구분 표시
철근의 기계적 성질(재질)
철근은 고탄소강의 일종으로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항복점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철근콘크리트용 철근의 경우 SD 뒤에 항복점을 표기해 강도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탄소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높아지지만 반대로 내부식성은 떨어지고 Cu(구리)가 함유되면 내부식성이 급격히 좋아지게 됩니다. 이외에도 철근을 만들때 첨가되는 화학성분들에 따라 이형철근의 강도와 기계적 성질이 달라지게 됩니다.
한국산업표준 KS D 3504:2021에 따른 이형철근의 화학성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화학성분표에서 탄소외에도 규소, 망간, 인, 황, 구리 등의 성분을 알 수 있습니다.
호칭에 따른 이형철근의 단위무게나 공칭단면적 등은 구조계산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형철근은 마디나 리브때문에 정확한 지름을 측정하기 힘들고 단면적 또한 같은 이유로 육안으로 측정하기 힘듭니다. 이때문에 각 호칭에 따른 철근의 공칭지름, 공칭단면적, 단위무게 등을 표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철근 표시에 따른 철근 종류와 항복강도 주로 쓰이는 곳, 화학성분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형철근의 호칭에 따른 단위무게 공칭지름 표준 생산 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