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심리학 – 사람에게 미치는 공간의 영향에 대한 이야기

환경심리학에서는 공간이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상호관계에 대해 연구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하는 경우를 예로 공간의 영향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볼 만 합니다.

환경심리학에서의 공간의 사람에 대한 영향

환경심리학에서는 인간에 대한 물리적 환경이 마음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관계를 연구합니다. 인간의 심리는 사실 사람의 뇌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인 신경계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관계성을 고려해보면 실제 사람들의 행동이나 감정 사고에 공간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게 이해가 됩니다. 특히 대부분의 현대인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실내에서 공간의 형태와 조명, 가구의 배치 등이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알게모르게 주고 있습니다.

어렵게 환경심리학이라는 단어를 꺼내지 않아도 다들 한 번쯤은 경험했던 백화점을 예시로 들어 보겠습니다.

백화점의 경험이 공간감이 신체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를 가장 많이 이야기 하는 경우입니다.

백화점에서 시간이 얼마나 지난지도 모르게 쇼핑을 하게 되는데 이는 철저하게 쇼핑에 집중하도록 의도된 환경에 의해 유도 된 경우입니다. 창문과 시계를 없애 시간의 경과에 무감각해지게 만들고 쇼핑의 흥미를 유도하는 가구 배치와 매장을 위치시킵니다.

환경심리학은 실내디자인이나 상업적인 부분에서 적극 활용되기도 하지만 건축에서도 매우 중요한 키워드가 되기도 합니다.

건축환경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로저 울리히의 자연 경관이 환자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영국 건축 공간 환경 위원회의 공간 영향에 대한 연구를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로저 울리히 Roger S. Ulrich 자연 경관이 환자 회복에 미치는 영향

울리히 박사의 연구는 의료시설 설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1984년 발표한 연구인 “창밖 풍경이 수술 회복에 미치는 영향(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은 자연경관을 볼 수 있는 환자의 회복이 더 빠르다는 결과를 입증하였고 이는 의료시설의 환경 디자인에 매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게 됩니다.

약 9년동안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자연 경관이 환자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의 결과를 보여줍니다.

  • 입원 기간이 단축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외부의 자연 환경을 볼 수 있는 환자의 입원 기간이 더 짧았습니다.
  • 진통제 사용이 줄었습니다. 수술 이후 회복 기간에 통증과 불편함을 자연경관이 감소시켰습니다.
  • 간호사의 기록에서 자연경관을 볼 수 있는 환자에게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됩니다.

영국 건축 공간 환경 위원회 CABE 의 공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

영국 정부에서 운영하는 비정부 공공기관인 CABE에서는 건축, 도시 설계 및 공공 공간에 대해 자문과 연구를 합니다. CABE에서는 건축가, 디자이너, 기획자 등과 사용자들과 직접적인 협력과 조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ABE는 건축 환경과 같은 무형적인 측면이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연구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공간이 인간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 따르면 실내 공간이 실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주거 및 사무 공간 사용자의 기분과 감정에 영향을 주는 환경 특성의 유사성과 규칙성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신경과학에서 건축 공간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도 환경이 사람들의 기분이나 집중력, 스트레스 등에 영향을 주고 업무 성과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CABE는 공공 공간이 양질의 공간이 되고 삶의 질을 연결하는데 큰 역할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윈스턴 처칠이 ‘사람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사람을 지배한다’는 유명한 말을 떠올려 볼 필요가 있습니다.

환경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보는 공간의 영향

환경심리학에서는 공간이 형태, 구조, 색, 밝기, 소음 수준 등 다양한 물리적 요소에 의해 사람들의 사고나 감정,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 개방적인 공간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높이고 답답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자연광과 식물들은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생산성도 높이게됩니다.
  • 파란색은 집중력을 높이고 노란색은 창의력을 높입니다.

이러한 예시에서 보여주듯 우리 주변의 환경은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환경은 어떤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환경심리학에서의 공간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 남기기